document.addEventListener("contextmenu", function (e) { e.preventDefault(); });
top of page
Anchor 1

마음 이야기

Anger  Joy  Worry  Sadness  Grief  Fear Shock

노(怒-성냄)

​간장이 주관하는 정서로서, 동기가 충족되지 못하거나 억압을 받을 때 즉, 뜻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 일어나는 분노이다. 노(怒-성냄)가 과도해지면 두통, 이명, 협륵통, 현훈(어지럼), 심계(심장 두근거림) 건망증등이 유발될 수 있고 요통 근육위축 불면 다몽(꿈을 많이꿈)등의 증상도 나타난다.

당신의 지친 몸과
마음을 위한
건강한 한의학적
마음 돌보기

Tea Set

임상을 하면서 병의 대다수가 마음과 관련이 있음을 알게 된다. 단순한 통증 또한 마음이 치료되면 낫는 경우가 많다. 사람의 정신적 고통은 대부분 과거의 좋지 못한 기억과 결부된 감정에서 시작된다. 그순간 털어 버리지 못하고 아직 처리되지 않은 감정은 몸에 이상을 유발한다. 이것은 정신적인 증상뿐만 아니라, 근육통, 고혈압, 암, 또한 비만 등 수 없이 많은 증상들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근본 원인을 제거하지 않고 단순한 몸의 불편한 부분만을 치료하면 증상이 잘 낫지 않거나 계속 재발하기도 하고 때론 그 증상은 없어지지만 또 다른 증상으로 바뀌어 나타나기도 한다. 오늘의 현대인들은 과거의 좋지않은 기억뿐만 아니라 이런저런 삶의 스트레스로 인해 여러 정신증상과 아픔을 겪고 있다. 따라서 마음 치료가 지금은 무엇보다 더 절실히 필요한 시기가 되었다.

​​​​
 

마음이란 무엇인가​​​​​​​​​​​​​​​​​​​​​​​​​​​

Illustration of a red heart
The loge of Healing Soul Clinic's featuring the Chinese character heart.

위키백과 사전에서 마음은 이렇게 정의한다. ‘사람이 다른 사람이나 사물에 대하여 생각, 인지, 기억, 감정, 의지, 그리고 상상력의 복합체로 드러나는 지능과 의식의 단면을 가리킨다. 이것은 모든 뇌의 인지(cognition)과정을 포함한다.

과학적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마음을 이야기한다면, 뇌가 하는 정보처리 과정 혹은 정보처리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우리의 눈이나 귀를 통해 외부의 빛 정보나 소리정보를 받아들여서 이를 해석하고 변형하고 저장하고 사용하는 일련의 과정이 바로 마음이라고 이해한다.

*영어에서 마음을 표현하는 단어
1.Heart -심장에 가까운 느낌으로 감성. 정서. 느낌에 관한 것
2.Mind -뇌에 가까운 느낌으로 의사결정및 참과 그릇됨을 판단하는이성.정신적인활동.생각에 관한 것
3.Personality -사람이 태어날 때부터 지닌 성질
4.Emotion. Mood -기분이나 느낌
5.Intention. Will -무엇을 하고자 하는 뜻이나 의지

 

​​​​​​​​​​​​​​​​​​​​​

한의학적 마음이란

​​한의학에서 마음은 무엇인가

​마음이란 각자의 모든 외부세계와의 모든 경험에 의해서, 즉 말소리 주변상황 터치등 모든 감각의 정보가 뇌로 들어가고 그 기억들을 계속 축적하는 과정에서 생긴것이 내 마음이 된다. 또 그렇게 경험을 한것은 다시 살면서 외부세계와 접할 때 반응하는 성향이 내 마음이 된다. 외부세계란 육기(六氣)-풍(風) 한(寒) 서(暑) 습(濕) 조(燥) 화(火)의 세계이다. 육기란 빛 온도 감각을 유발하는 세계이다. 육기 마다 감정이 만들어 진다. 

 

한의학에서는 7가지 감정 즉, 七情(칠정)– 노(怒) 희(喜) 사(思) 비(悲) 우(憂) 공(恐) 경(驚)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 칠정은 신체 내외에서 가해지는 심리적. 육체적 자극으로 발생하는 정서 반응이다. 우리 몸의 장부 기혈, 특히 오장(五臟)-간(肝) 심(心) 비(脾) 폐(肺) 신(腎)의 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오장의 생리와 병리에 직접 영향을 끼칠 수 있다.

A woman with an angry expression.

노(怒-성냄)

​간장이 주관하는 정서로서, 동기가 충족되지 못하거나 억압을 받을 때 즉, 뜻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 일어나는 분노이다. 노(怒-성냄)가 과도해지면 두통, 이명, 협륵통, 현훈(어지럼), 심계(심장 두근거림) 건망증등이 유발될 수 있고 요통 근육위축 불면 다몽(꿈을 많이꿈)등의 증상도 나타난다.

이상으로 한의학에서의 칠정은 지극히 생리적인 반응이면서도 내상병(內傷病)의 주요한 병인중 하나이다. 모든 정지(情志)는 연관된 장부에 영향을 주지만, 주로 심장(心), 간장(肝), 비장(脾)에 나타난다. 또한 정지가 오래 지속되면 화(火)를 유발한다.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칠정은 결코 병을 일으키진 않는다. 정신 활동과 스트레스가 지나치거나, 급작스럽거나, 너무 오래 지속되면 오장을 비롯한 장부 기혈의 기능을 문란하게 만들어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건강한 정신과 신체를 원한다면 평소 칠정을 조절하고 오장의 기능을 안정시키는 데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일찍이 허준 선생은 [동의보감] 에서 ‘사람의 질병을 치료하고자 한다면 그 사람의 마음을 먼저 치료하라’ 라는 경구를 전해주었다. 한의학은 기본적으로 몸과 마음이 분리되어 있지 않고 하나라는 심신일원론(心身一元論)을 기본으로 하는 학문이다. 수많은 연구 결과로 이미 증명이 된 내용으로 마음이 건강해야 몸도 건강해질 수 있으며, 반대로 마음이 건강하지 못하면 몸도 건강할 수 없다.

당신의 지친 몸과
마음을 위한
건강한 한의학적
마음 돌보기

Tea Set

한의학적 마음 치유 목표

한의학에서는 정신 몸을 따로 보지 않는다. 한의학은 정신이나 몸이나 기의 변화에 불과한 거라고 이해한다. 몸도 기가 잘 못 되면 병이되고 정신도 기가 잘 못 되면 병이된다. 몸을 기의 변화를 조절해서 통제하듯이 정신도 마찬가지로 기를 조절해서 그 사람의 정신 감정을 해결한다. 정신과 육체를 조화롭게 만들어 기운이 막힘이 없는 최적의 상태가 되게 하는 것이다. 최적이 되려면 자신이 갖고 있는 고유 리듬을 찾아가야 한다. ‘기’('에너지')는 정신과 육체의 연결고리 다리역할을 한다. 정신적 병은 기가 체한것이고 기가 막힌 것이다. 사람의 감정이라는 것은 결국은 복잡한 ‘기의 반응’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기’를 활용하면 정신과 육체의 조화를 원활히 하여 질병을 극복할 힘을 얻게 된다. 


​*기치료란  [링크]
*마음 한의원의 마음치료 방법  [링크]
*마음치료를 위한 건강한 한약 이야기 [링크]


마음이야기 맺는말

감정은 자연스러운 것이고 하나님께서 주신 것이다. 그러나 살아가면서 이런 저런 좌절과 아픔 슬픔 스트레스등으로인해 우리의 모든 감정은 항상 기분(기의 활동)이 좋을 수 만은 없다. 즉 한쪽으로 치중된 감정들은 기의 상태를 나쁘게 하고 몸에도 영향을 주어 이런저런 질병을 야기시킨다. 

 

​근심 걱정 불안 우울등을 일으키는 주체는 바로 자기 마음이다. 내 기억속에 남아있는 좋지 않았던 감정의 기억들이 온통 머리속에 가득하게 되어, 내 몸에서 소통이 되고 순환이 일어나야되는 것들이 막혀서 돌덩이처럼 내 가슴에 응어리가 되는 것이다. 나의 모든 정상적인 기운을 내가 막아놓고 있는것이다.

 

우리가 집착하고 사는 그것이 몸의 성향이 되었다. 그 성향과 그 동기들을 찾아서 풀어내려는 것이 한방 정신과 치료의 핵심이다. 모든 정신 질환은 기의 반응이다. 감정은 기가 요동치는 것이다. 감정은 내 멋대로 반응하는것이 아니고 인체에서 병이 되는 거와 똑같이 어떤 경락을 따라 들어와 내 몸의 상태에 따라 어떤 병이 생긴것처럼 내 몸의 상태에 따라 감정 또한 반응한다. 그 사람의 조건에 따라 그 사람에게 맞는 감정도 반응이 일어난다. 그 기가 어떻게 통제하고 있는지 알면된다. 

​당신의 마음은 안녕하신지요?

Depressed woman awake in the night, She is exhausted and suffering from insomnia_edited.jp

우울

우울감이 크고 평소 내성적이며

​가슴이 답답하다

Sad on Couch_edited.jpg

걱정.불안

걱정이 많고 예민하며

​불안하다

A woman hiding under a blanket with only her eyes visible, looking fearful.

​두려움.공포

두려움을 잘 느끼거나

​잘 놀란다.

#yoga #namaste #aroma #beautiful #feel #girl #aesthetics  #photography #instagram #portrai

답답함.화병

가슴이 답답하고, 스트레스를 잘 풀지 못하고 안으로 삭힌다

an angry girl__edited.jpg

​짜증.분노

스트레스를 받으면 열이 위로 뜨거나

​쉽게 흥분한다

Depressed woman awake in the night, She is exhausted and suffering from insomnia_edited.jp

예민.긴장

예민한성격으로 쉽게 긴장하고

외부 환경에 민감하다

​​우울증 불안 강박장애 불면증은 어쩌면 크리스찬이나 세상을 성실하게 진실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더 쉽게 걸릴 수 있다. 죄에 대해 더 민감하고, 추구하는 이상은 높고, 하나님의 기준에 못미치고, 이상과 현실의 괴리감이 더 크게 생기게 되면서 이런 증상들이 생길 수 있다. 내 마음을 살리고 내 몸을 살리고 나아가 주위모든 사람들에서 선한 영향력을 끼치길 진심으로 원하는 사람들에겐 내 마음관리나 몸관리에 교만이나 창피함이 없다. 자신의 약함을 인정하는 겸손함에서부터 치료는 시작된다. 


내 마음은 내가 지켜야한다. -무릇 지킬만한 것보다 더욱 네 마음을 지키라 생명의 근원이 이에서 남이니라- 우리의 마음 밭이 혼란스러우면 하나님의 말씀을 받아도 다 튕겨나간다. 내 마음을 옥토밭으로 만들고 관리하는 것은 마음의 주인인 내가 해야 된다. 내가 돌보지 않는 나, 내가 돌보지 않는 내 가정은 지킬수가 없다.

우리는 몸이 아프면 병원에 가고 주사를 맞고 약을 처방받듯이 마음이 아프고 감정의 변화가 심할때 이 또한 전문이에게 가서 도움을 받아야 한다. 정서적으로도 안정된 상태인지 정검하고 치료를 받아 감정의 찌꺼기들과 지친 마음들을 정기적으로 털어내는 작업이 무엇보다 우리 모두에게 필요하다. 한의원에서의 마음 치료는 침 한약 뜸 부항 이외에도 치료자의 가치관이 개입되기에 내 가치관과도 맞고 신뢰할만 전문 치료자에게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Anchor 2
Anchor 3

당신의 지친 몸과
마음을 위한
건강
한약 이야기 

picture of Healing soul herbs

마음치료 한약요법 

한의학에서는 침치료와 함께 예로부터 정신과질환을 다루는 한약재들을 수없이 연구하고 개발해왔다. 자연에서 자라거나 재배한 한약을 엄선하여 각 개인의 증상에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을 한다. 한약은 양약에 비해 즉효성 측면에서는 반응속도가 느리게 느껴질 수 있다. 즉효성은 느리지만 환자의 증상과 체질에 맞는 한약을 사용한다면 부작용이 적고, 보다 완만하게 신진대사를 회복시키면서 심리적 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한약은 체질과 기타 병행한 다른 신체 증상에 맞춰서 처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정신치료 한약재중에는 교감신경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는 약재가 많다. 이런 약재들을 통해 지나치게 과활성화된 교감신경을 안정하게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정신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약재는 약성이 순한약들이 대부분이다. 몸이 견딜 수 있는 기본적인 정기를 보강하면서 마음과 신경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마음한의원에서 사용하는 한약재는 의약품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인정한 “한약재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인증”을 통과한 한약재만을 사용하여 중독성이 없는 자연치료를 우선으로 한다. 환자의 감정 상황을 4문진('망문문절'- 望問聞切)-보고, 묻고, 듣고, 손으로 촉진하면서 온몸의 감각을 동원해 환자의 질병 정보를 알아내고, *맥진(脈診)-손목 안쪽의 동맥 박동이 느껴지는 곳에 손가락을 얹고 맥박을 파악하는 방법을 통하여 기혈음양의 허실을 파악하고, *설진(舌診)-혓바닥의 색깔, 설형, 설태등을 통해 오장육부의 상태를 파악한다. 

모든 진단을 가지고 위의 6가지 감정의 상태에 따라 기본적인 프로토콜 한약을 적용하되 각 환자의 몸상태에따라 더하거나 빼어서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한약을 선정하여 조제한다. 마음한의원에서는 한국 노의준 박사가(www.http://gyogam.com/noh/) 하버드대와 공동 연구 MOU 를 체결하여 신경정신과질환 치료한약을 개발한 신경정신과프로토콜을 따라 환자에게 적용시키고있다.

마음치료 한약요법 외 

가슴이 답답한 경우에는 흔한말로 어떤 것이 막혔을 때는 막힌 것을 풀어주는 ‘침’ 치료로 막힌 경혈자리를 풀어주는 목적으로 침을 많이 활용하게 된다. 가습답답함의 증상은 침치료가 기본이고 우선이 된다. 가슴 배 머리 손발 전반적으로 순환을 시켜주는 것이 침치료의 목적이다. *침 요법 [링크]

아랫배에 뜸을 떠서 열을 아래로 끌어 내리는 효과를 갖게 된다.  두가지를 같이 보완하기 위해서 가슴은 침을 놓고  배에는 뜸을 가슴은 편안하게 배는 따뜻하게하는 치료를 한다. *뜸 요법 [링크]

부항

신체 부위에 어떤 뭉친 부위는 부항을 뜸으로써 심한경우는 사혈 즉 어혈을 풀어줘서 환자로하여금 편한정서를 만들기도 한다. 계속해서 오랫동안 쌓여있는 경우에는 그것이 담 같은 것이 만들어 지기 때문에 담과 어혈을 부항을 통해서 풀어내는 경우가 많다.  *부항 요법 [링크]

 

기타 마음 치료법

호흡법과 함께 스트레칭, 지압, 음식조절(열을 내리는 음식), 차마시기, 대화하기, 산책, 글쓰기, 그림그리기등 취미생활, 명상이나 기도하기, 감사하기등 시행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호흡방법 [링크]

 

맺는말
“마음이 안정되어야 몸도 건강할 수 있습니다. 마음 한의원에서는 환자 한 분 한 분의 마음과 몸의 균형을 회복하는 여정을 동행하며, 진정한 평화를 찾을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작은 변화가 큰 치유의 시작이 될 수 있습니다. 마음을 가볍게 하고 건강을 되찾기 위해 오늘 첫 발걸음을 내딛어 보세요.

 

​​

*마음 한의원의 마음치료 방법 [링크]

bottom of page
document.addEventListener("contextmenu", function(event) { event.preventDefault(); });